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dev-ing23

[Git] Sourcetree git stash (기본 개념, 사용 방법 간단정리) 좋은 커밋 메세지 7가지 규칙 커밋을 만들지 않고, 변경사항을 잠시 서랍(?) 속에 저장할 수 있는 stash의 기본 개념과 사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커밋을 만들지 않고, 변경사항을 잠시 서랍(?) 속에 저장할 수 있는 stash의 기본 개념과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Git stash란? 새로운 커밋을 만들지 않고, 변경사항을 잠시 다른 곳에 저장하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 Sourcetree에서 진행하기 1. History → stash 하고 싶은 커밋을 선택 후, 상단 스태시 탭을 선택한다. 2. 스태시에 대한 설명을 적고 확인을 선택한다. 3. 저장된 스태시를 꺼내려면 왼쪽 사이드바의 스태시 섹션에서 원하는 스태시를 선택하고, 우클릭한 후, 스태시 적용을 선택한다. 4. 스태시 했던 변경사항이 스테이지로 튀어나온 것을 확.. 2022. 10. 13.
[Springboot] 스프링부트 기초 (4) 스프링 웹 개발 API 방식 JSON MVC 정적 컨텐츠 오늘은 저번 정적 컨텐츠와 MVC방식에 이어서 API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스프링 웹 개발 기초에 대해 알아보자! 정적 콘텐츠 MVC와 템플릿 엔진 API [Springboot] 스프링부트 기초(3) 스프링 웹 개발 기초 정적 컨텐츠 MVC Thymeleaf 템플릿 엔진 이번에는 스프링 웹 개발 기초에 대해서 알아볼 건데요, 크게 정적컨텐츠, MVC와 템플릿 엔진에 대한 관련내용을 간단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스프링 웹 개발 기초에 대해 알아보자! 정적 콘 otaminn.tistory.com API 특정 데이터 구조 포맷으로 데이터를 웹 브라우저에 전달해주는 방식. 정적 컨텐츠 방식이 아니라면 딱 2가지만 기억해도 무방합니다. MVC를 이용해서 HTML를로내리는지, API라는 방식을 사용해서 데이터를.. 2022. 10. 13.
[Springboot] 스프링부트 기초(3) 스프링 웹 개발 기초 정적 컨텐츠 MVC Thymeleaf 템플릿 엔진 이번에는 스프링 웹 개발 기초에 대해서 알아볼 건데요, 크게 정적컨텐츠, MVC와 템플릿 엔진에 대한 관련내용을 간단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스프링 웹 개발 기초에 대해 알아보자! 정적 콘텐츠 MVC와 템플릿 엔진 API 정적 콘텐츠 파일을 그대로 웹 브라우저에 전달해주는 방식. (정적 파일을 그대로 전달 ) 정적 컨텐츠에 대한 간단한 예시를 작성해보겠습니다. 1. 프로젝트 /resources/static/hello-static.html을 생성하고, 아래와 같이 아무 문자를 적습니다. 정적 컨텐츠 입니다. 2. 서버를 실행하고, 주소창에 localhost:8080/hello-static.html을 입력하고 태그안에 적은 내용이 출력되면 성공! 위에서 살펴본 과정을 스프링 부트의 정적 컨텐츠 흐름으로 보.. 2022. 10. 12.
[Springboot] 스프링부트 기초 (2) view 환경설정 동작환경 원리 springboot devtools 적용하기 저번 1탄에서는 스프링부트 프로젝트 생성과 환경설정에 알아보았었죠? 이번에는 view에 대한 환경설정과 스프링부트의 동작환경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view 환경설정과 스프링부트의 동작환경과 원리 간단하게 살펴보기! 1. 프로젝트 구성하기 프로젝트 구성 예시 => 2. 컨트롤러 작성과 컨트롤러와 뷰의 상호동작, 스프링부트 동작환경 컨트롤러 패키지 안에 간단한 예시로 HelloController라는 java 파일을 생성 후 아래와 같이 작성합니다. 서버를 실행시키고 localhost:8080/hello 라고 입력했다고 가정했을 때, 웹 브라우저에서 호출한 "/hello"를 스브링부트 내장 서버인 톰캣에 던지면 스프링 부트는 해당 controller에서 입력한 url인 /hello와 매칭되는 메서드는.. 2022. 10. 9.
[SpringBoot] 스프링부트 기초 (1) 프로젝트 생성, 환경설정하기 웹 개발 영역에서 필수로 알아야 한다는 스프링! 그중에서도 스프링 부트에 대해 처음부터 하나씩 하나씩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개인적으로 공부하면서 정리한 내용들을 바탕으로 작성한 것이므로, 부족한 점이나 틀린 점이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세요! 고맙습니다~ :) ) 오늘은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환경설정까지 해보겠습니다! :) Spring boot 기초 - 프로젝트 생성, 환경설정, 빌드 후 실행하기! 1. IntelliJ, 자바 JDK 설치, 자바 환경변수 세팅하기. 일단 시작하기 전에, IntelliJ (or Eclipse)와 원하는 자바 JDK버전을 설치해 줍니다. (mac에서 자바 환경변수 세팅하기) [Java] mac에서 자바 환경변수 설정 및 변경 (mac Os, Java, Spring) 스프링 .. 2022. 10. 9.
[Java] mac에서 자바 환경변수 설정 및 변경 (mac Os, Java, Spring) 스프링 프로젝트를 만들기 전에 먼저 JDK를 설치하고 환경변수 잡아야 겠죠?? 아래에서는 mac에서 자바 환경변수 설정하는 법을 간단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본 내용은 인텔칩이 탑재된 mac에서 적용됩니다. m1이상 부터는 해당 내용이 적용 되지 않습니다.) Java 환경변수 설정하기! 먼저 JDK를 설치하기 위해 오라클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a 자바버전은 11버전을 다운받아 보겠습니다. 1. 오라클 홈페이지로 이동 오라클 홈페이지로 이동하기 -> Download the Latest Java LTS Free Subscribe to Java SE and get the most comprehensive Java support available, with 24/7 global access to the ex.. 2022. 10.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