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양적완화 정책의 부작용을 막기 위한 방법 중 하나인 테이퍼링의 정의와 장단점을 알아보겠습니다.
테이퍼링이란?
테이퍼링(Tapering)은 '가늘게 하다'라는 의미로, 마라톤에서 고강도의 훈련을 하다가 대회가 다 와가면 컨디션 조절을 위해 훈련 강도를 낮추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어떤 행위의 강도를 서서히 낮추다 라는 의미이며, 이를 경제상황에 적용해서
'경기를 부양하기 위해 실시하던 양적완화 정책을 점점 축소한다'라는 의미로 사용하는 단어인 것입니다.
테이퍼링이라는 말은 2013년 미국 연준의 의장이었던 버냉키(Bernanke)에 의해 처음 활용되었습니다. 중앙은행은 경기 상황이 좋지 않다고 판단될 때, 경기 부양정책으로 '양적완화'정책을 활용해 시중에 돈을 풀어 경기를 활성화시킵니다.
경기 상황을 지켜보다가, 경기가 회복세에 들어왔다고 판단될 경우, 시중에 풀었던 돈을 다시 거둬들일 필요가 있겠죠?
많은 돈이 장기간 시중에 풀려 유통되면 또 지나친 물가상승 등의 부작용들이 발행하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양적완화 정책으로 경기를 회복시킨 후, 서서히 빠져나오는 것이기에 '출구 전략'이라고도 합니다.
중앙은행이 경기 활성화를 위해 돈을 푸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기준 금리를 낮춰 사람들이 은행으로부터 대출을 쉽게 받을 수 있게 하는 것, 두 번째로는 국채나 금융자산을 사들여 시중에 자금을 공급하는 것인데, 테이퍼링은 두 번째 방법의 규모를 줄여가는 방법입니다.
즉, '중앙은행이 매입하는 자산의 규모를 줄여가는 정책'인 것입니다.
테이퍼링의 장단점
테이퍼링 실시에 대한 장단점을 간단히 풀어서 말해보겠습니다.
테이퍼링을 실시하면 시중에 풀리는 돈의 양이 점점 줄어들게 됩니다. 미국이 테이퍼링을 실시하면 시중에 유통되는 달러가 줄어들면서, 일반적으로 미국의 국채금리가 상승하고 달러 가치도 상승합니다. 테이퍼링을 한다는 것은 경제가 어느 정도 회복세에 접어들었다는 일종의 신호이기도 합니다. 즉, 경기가 회복된 것 같으니 굳이 시중에 막대한 양의 돈을 풀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죠.
그러나 경기가 어느 정도 회복됐다는 신호이기도 하지만, 부정적인 측면도 존재합니다. 시중에 풀린 달러가 미국으로 다시 흘러들어 가게 되면, 그만큼 달러의 유통량이 줄어들게 됩니다. 그러면 해외에 투자했던 외국인들이 투자했던 달러를 회수해서 미국으로 돌아가려는 가능성이 높아지겠죠? 이렇게 되면 외국인 투자자들이 투자했던 나라의 기업 주가는 당연스럽게 하락할 것이고 이 여파는 해당 나라의 경제는 물론, 이 나라와 경제적으로 밀접한 관계가 있는 나라에게도 미치게 되는 것입니다.
즉, 기업에 투자했던 외국인들의 달러가 다시 미국으로 돌아가면서 주가가 하락하면서 주식 시장의 변동성이 크게 증가한다는 의미입니다. 많은 투자자들이 미국의 테이퍼링 실시 여부에 관심이 많은 것도 바로 위와 같은 현상 때문인 것이죠.
(연준이 무엇인지 궁금하다면?)
연준이란 무엇인가 (Fed, FOMC, 금리인상)
세계 경제의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하는 연준과 세계 경제 정책의 방향성을 결정하는 FOMC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연준이란? 연방준비제도(Federal Reserve System)는 미국에서 중앙은행의 역할을 하는
otaminn.tistory.com
'시사 & 경제 > 경제 상식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율의 상승과 하락? 환율 변동에 대해 자세히 알아봅시다 (ft. 환율 변동의 요인, 미치는 영향) (2) | 2022.09.07 |
---|---|
금리 종류를 파헤쳐보자 (ft.기준금리, 콜 금리, CD/CP금리, 코픽스 금리, 여신금리,수신금리, 예대마진율) (0) | 2022.09.03 |
기준금리 인하로 인한 경제 활성화? (ft.기준금리 뜻, 환매조건부채권, 7일물 RP) (4) | 2022.09.01 |
연준이란 무엇인가 (Fed, FOMC, 금리인상) (0) | 2022.08.30 |
채권이란 무엇일까? (국가와 기업의 돈 빌리는 방법) (0) | 2022.08.29 |
댓글